[정보] 청년 정신질환 치료비 지원 (울주군 정신건강복지센터)

1. 개요
; 정신질환으로 인해 응급상황, 즉시 입원, 발병 초기 질환으로 꾸준한 진료가 필요한 경우 치료비를 지원

2. 지원 대상
– 울주군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등록된 등록관리 대상자
– 정신질환 의심자 및 초발정신질환자포함(치매 및 정신지체 미포함)
– 주민등록 주소지상 울주군 또는 울주군 실거주자
  (대학 재학 및 사업장근로자 가능)
– 주민등록상 만 19세(2006년생) ~ 만 39세(1986년생)
– 소득요건 및 의료보장상태에 따라 지원 우선순위를 정해서 지원
– 보건복지부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으로 지원이 가능한 경우 우선적으로 지원 및 사업연계 진행

3. 신청방법 및 요건
1) 신청방법 및 절차 

  • 울주군정신건강복지센터 홈페이지/전화/방문 신청. / 유니스트 헬스케어센터 이용자의 경우 헬스케어센터 통해 대상자 의뢰 신청 가능.
    – 울주군정신건강복지센터 담당자 평가 → 사례회의 → 치료비 지원 대상자 선정 → 치료비 지원

2) 요건
– 치료비 지원 대상자로 선정 된 후 센터 상담 및 치료에 적극적인 협조가 가능한 대상자

4. 지원 내용
1) 외래치료비 및 입원치료비(1인 최대 1년/400,000원)
– 정신치료 및 상담비, 정신의료기관 및 상담기관 프로그램 참여 비용
 (상담기관 프로그램의 경우 센터 내부평가 후 지원여부 결정)
– 심리검사비 : 진단을 위한 심리지원비
– 약제비 : 정신건강의학과 진료 후 약제비
(정신건강의학과 처방전에 의해 발생한 약제비만 지원함) – 입원을 위한 기본 건강검진 자부담비용 등
– 정신치료 및 식비를 포함한 입원에 소요되는 자부담비용 일체 지원
(대상자 간식비 지출불가, 식비는 기초생활수급 및 차상위계층 지급 불가하며 건강보험대상자에게만 지급)

5. 문의처
* 울주군정신건강복지센터 치료비 담당자 052) 262-1148

울주군정신건강복지센터

[클리닉/약국] 1월 휴진일 안내 (Clinic/Pharmacy January Schedule Notice)

[카드뉴스] 새해에는 나에게 다정한 사람이 되어보자: 나는 나를 돌봅니다.

알쓸독감

출처: 질병청

[클리닉] 12/24, 12/31 운영시간 단축 안내 / Clinic Shortened Hours Notice

[카드뉴스] 결핵 바로 알기 A to Z [1] 결핵에 대한 모든 것

UNIST 헬스케어센터 – (주)에스옴니 MOU 체결 (2024.10.29)

시선뉴스         https://www.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8307
경상일보         https://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14223
울산제일일보  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57872
공감신문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811537
YTN                https://www.ytn.co.kr/_ln/0115_202411221545437595
한경비즈니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411228379b
뉴스퀘스트     https://www.newsque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4842
팜뉴스            https://www.pharm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54541

[강연] Book Talk – 듣는 마음, 말하는 기술 초청 강연(12/3, 화, 오후 4시)

👉참가 신청 링크: Click

👉신청 기간: 2024.11.20.(수)~11.29.(금) 18:00

※ 선착순 50명, 조기 마감 가능, 우수 질문자 우선 선정 가능

※ 연사가 선정한 우수 질문자에게는 저자 친필 사인 도서를 증정합니다.

※ 강연 당일 학술정보관 1층 커뮤니케이션존(정문 우측 소파 공간) 이용에 제한이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문의: 문헌정보팀 (052-217-1405)

Therapy Dog BREE at UNIST Healthcare center

Dynamic Image

헬스케어센터 동물매개치료 및 동물상주프로그램 일시 중단 안내(2024.11.06~2025.01.31)

 

그동안 동물매개치료와 동물상주프로그램에 많은 관심과 애정을 보내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아쉽게도 센터의 인력 운영 상황으로 인해 동물매개치료와 동물상주프로그램을 잠시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프로그램 참여를 기대해 주셨던 분들께 죄송한 마음입니다.

특히, 치료견 ‘브리’를 많이 아껴 주신 여러분의 마음을 잘 알고 있기에, 조속한 시일 내에 브리가 다시 돌아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중단예정기간: 2024.11.06.(수)~ 2025.01.31.(금), 1월중 재공지

 

재개 여부 및 시기는 내년 1월중에 다시 공지할 예정입니다.
오픈 카카오톡 채널은 계속 운영할 예정이니, 관련 문의나 근황 공유는 채팅방을 이용해주세요.

아쉽지만 저희도 더 나은 프로그램을 준비하는 시간으로 삼고, 여러분을 다시 만날 날을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많은 양해와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연락처: 신지민, (T)052-217-4011, (E)jmshin@unist.ac.kr
– 오픈 카카오톡 채널: Everyday BREE, https://open.kakao.com/o/g9nb4egf

 

 

Hello, this is the Healthcare Center.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heartfelt thanks to everyone who has shown great interest and affection for our Animal-Assisted Therapy and Resident Animal Program.

Due to recent changes in our staffing situation, we regret to announce that we will be temporarily suspending these programs.

 

We apologize for any disappointment to those who were looking forward to participating.

We especially recognize how much you all care for Bree, our therapy dog, and we will make every effort to bring Bree back as soon as possible.

 

Program Suspension Period: November 6, 2024 (Wed) – January 31, 2025 (Fri); further notice will be provided in January.

 

The resumption date and program status will be announced in January.

Our open KakaoTalk channel will remain active, so please feel free to use it for inquiries or updates.

Though we are saddened by this pause, we see this as an opportunity to prepare improved programs and look forward to welcoming you back soon. We kindly ask for your understanding and support.

Thank you.

 

Sincerely,
The Healthcare Center

 

Contact: jmshin@unist.ac.kr
Open KakaoTalk Channel: Everyday BREE, https://open.kakao.com/o/g9nb4egf